롱블랙 다큐, 홍종원 : “의사가 왜 그러고 살아요?”

2024.06.15

남의 집 드나드는 의사, 의대 졸업 후 ‘의사의 역할은 무엇인지’ ‘어떤 의사가 되어야 하는지’ 고민하며 무작정 지역사회에 뛰어들었다. 동네주민들과 어울려 축제를 기획하고, 마을사랑방 ‘건강의집’을 얻어 여러 청년들과 함께 살면서 ‘호의’와 ‘연대’만이 건강한 삶의 필수조건이라는 것을 몸소 깨달았다. 이 경험을 바탕으로 방문진료 전문병원 ‘건강의집 의원’을 열어, 아픈 이들을 직접 찾아다니는 의사가 되었다. 아무도 하지 않는 일을 하다 보면 아무도 할 수 없는 일을 할 수 있을 것이라 낙관하며, 세상에 순응하지 않고 게으르게 살려고 한다. 꿈도 계획도 없이, 그러나 아픈 이들의 곁에서 함께 웃으며.

성장하고 싶은 직장인을 위한 지식 구독 서비스. 감각의 시대, 가장 앞선 감각적 비즈니스 케이스를 전달하는 것이 미션이다. 하루 한번의 노트를 발행하고, 24시간 동안만 공개함으로써 지식 소비의 습관을 형성하고자 한다. 묵직한 인사이트를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려 노력한다.


환자가 한 명도 오지 않는 병원이 있습니다. 심지어 원장도 자리를 자주 비우죠. 병원에 앉아서 환자를 기다리는 게 아니라, 환자의 집으로 직접 찾아가거든요. 

이 기묘한 병원의 이름은 ‘건강의집의원’. 이곳을 만든 원장이자 1호 의사, 바로 홍종원입니다. 그의 앞에 붙는 수식어가 있어요. ‘찾아가는 의사’. 

그를 만나러 강북구 번동을 찾았어요. 수유역에서 마을버스를 타고 20분쯤 가면 동네 어귀에 다다릅니다. 조금 일찍 도착했더니 역시나 부재중이었어요. 병원 특유 소독약 냄새조차 나지 않는 공간. 천장까지 잎이 뻗은 여인초만이 조용히 저를 반겨주고 있었죠. 

인터뷰 시간에 맞춰 홍종원 원장이 나타났습니다. 배가 볼록한 갈색 왕진 가방에 눈이 갔어요. 본래 카메라용이었던 이 가방을 열자, 온갖 의료용품이 쏟아져 나왔습니다. 청진기, 주사기, 혈압계… 그는 매일 이 가방을 어깨에 걸고 오패산 자락을 누비죠. 

그가 만나는 대부분의 환자는 장애인, 와상환자*, 고령자.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일정 외에도 주야장천 뛰어다닙니다. 그의 휴대폰은 환자들로부터 걸려오는 전화로 쉴 새 없이 울려요. 인터뷰 중에도, 그는 몇 번이고 전화를 받으러 나갔어요.
*몸을 움직이는 것이 불편해서 누워있는 시간이 많거나 누워서 지내야 하는 환자.


롱블랙을 구독하면
분야를 넘나드는 1300개 이상의 콘텐츠를 읽을 수 있어요

롱블랙 구독자분들은
이렇게 말해요

전체 노트 보러가기
다른 콘텐츠를 보러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