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드리고 : 36만 가구의 빨래통이 된 서비스, 세탁 시장의 확장을 말하다

2024.11.07

‘의식주컴퍼니’ 대표. 샌프란시스코 여행 중 도둑이 훔쳐 가지 않은 빨래 더미에서 영감을 얻어, 2018년 1월 의식주컴퍼니를 설립했다. 2019년 3월 ‘비대면 모바일 세탁 서비스’인 ‘런드리고’를 런칭해 세탁 자동화를 이끌고 있다.

트렌드는 배우는 것이 아니라 즐기는 것이라고 믿는 주니어 마케터. 소비자의 입장에서 늘 패션·뷰티·콘텐츠의 새로운 브랜드를 찾아다닌다. 롱블랙 스터디 모임에서도 가장 아이디어를 많이 내는 멤버다.


롱블랙 프렌즈 C 

다들 빨래 자주 하세요? 저는 빨래 개는 게 너무 귀찮아요…. 그래서 모바일 세탁 서비스를 쓰기 시작했어요. 빨래를 모아 집 앞에 놓고 앱으로 신청하면, 하룻밤 뒤에 다시 집으로 갖다주는 식이죠. 돌려줄 때는 양말의 짝도 맞춰서 보내줘요! 

요새 저 같은 사람이 늘고 있나 봐요. 이 분야 서비스가 꽤 성장하고 있거든요. 그중에서 1등은 런드리고LaundryGo. 2019년에 시작해 매출이 5년 사이 30배 늘었어요. 첫 해 16억원이던 매출액은 2023년 492억원까지 늘었죠. 유료 정기 고객은 36만 가구, 누적 세탁량은 2400만 장*이 넘어요.
*2024년 10월 기준

런드리고 서비스의 핵심은 ‘비대면’과 ‘직접 세탁’이에요. 코인빨래방과 동네세탁소의 기능을 품어 빨래를 알아서 해주겠다는 거죠. 흥미로운 건, 이 아이디어가 2017년에 나왔다는 거예요. 약 7년간 세탁 시장을 어떻게 뚫었는지 궁금해졌어요. 의식주컴퍼니의 조성우 대표를 찾아갔죠!


조성우 의식주컴퍼니 대표

조성우 대표는 런드리고 창업 전에도 회사를 세운 적이 있어요. 2011년, 덤앤더머스라는 회사를 만들어, 4년 뒤 우아한형제들에 매각했죠. 당시 주력 아이템은 ‘신선식품 새벽배송’. 커머스 분야의 새벽배송 모델은 국내에서 처음이었죠. 심지어 쿠팡의 로켓배송보다 한발 빨랐다고 해요!  

그다음 조 대표가 잡은 아이템은 ‘빨래’였어요. 2017년 미국 여행 중 얻은 깨달음이 런드리고로 이어졌죠. 이 사업이 매출액 500억원 규모로 커졌고요. 빨래와 드라이클리닝은 물론, 무인 세탁과 호텔 세탁까지 카테고리도 넓혔어요. 

롱블랙을 구독하면
분야를 넘나드는 1300개 이상의 콘텐츠를 읽을 수 있어요

롱블랙 구독자분들은
이렇게 말해요

전체 노트 보러가기
다른 콘텐츠를 보러갈까요?

위드 롱블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