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에 관하여 : 낮은 목소리로 대화하는 나무엔 따뜻한 피가 흐른다

2025.04.05

성장하고 싶은 직장인을 위한 지식 구독 서비스. 감각의 시대, 가장 앞선 감각적 비즈니스 케이스를 전달하는 것이 미션이다. 하루 한번의 노트를 발행하고, 24시간 동안만 공개함으로써 지식 소비의 습관을 형성하고자 한다. 묵직한 인사이트를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려 노력한다.

일상에서 발견한 감각적 사례를 콘텐츠로 전파하고 싶은 시니어 에디터. 감성을 자극하는 공간과 음식, 대화를 좋아한다. 말수는 적지만 롱블랙 스터디 모임에서 새로운 트렌드를 가장 많이 공유하는 멤버.


롱블랙 프렌즈 B 

최근 우리나라를 뒤덮은 산불을 보며 무력감을 느꼈습니다. 잿더미가 된 삶의 터전, 검은색으로 바뀐 숲을 보며 마음이 무거워졌죠. 

아이러니하게도, 숲을 잃은 뒤에야 숲이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동시에 궁금했어요. 숲은 어떤 존재인지 더 알고 싶어졌죠. 

먼저 숲과 나무를 다룬 책*을 여럿 구해 읽었습니다. 서울 마포구 성산동 일대에서 4년간 활동 중인 이서영 숲해설가의 이야기도 들었어요. 그렇게 숲의 의미를 곱씹으며 정리한 기록을, 식목일(4월 5일)인 오늘 여러분께 전하려 합니다.
*책 『나무를 대신해 말하기』, 『세계숲』, 『나무』, 『식물의 방식』, 『숲이 불탈 때』의 내용을 갈무리해 정리했다.


Chapter 1.
사람들을 차분히 위로하는 숲

“숲은 우리를 차분히 위로하는 ‘신’과 같은 존재다.” 식물학자 다이애나 베리스퍼드-크로거Diana Beresford-Kroeger*는 숲을 이렇게 정의합니다.
*아일랜드 출신의 세계적인 식물학자이자 의학생화학자. 1960년대 초부터 기후위기를 내다보고 환경 보호 운동에 앞장섰다. ‘나무의 제인 구달’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자연에는 우리 모두가 다 아는 신이 있다. 큰 숲이든 작은 숲이든 그 안으로 걸어 들어간 사람은 들어갈 때보다 더 차분해진 상태로 나오게 된다. 그 위엄을 경험하고 나면 절대 예전의 상태로 돌아가지 않는다. 거기서 나오면 자기에게 무언가 대단한 일이 일어났음을 깨닫게 된다.”
_다이애나 베리스퍼드-크로거 『나무를 대신해 말하기』 208p

이 대목을 읽으면서 저는, 3년 전 제주 서귀포 치유의 숲에 갔을 때를 떠올렸습니다. 12가지 테마로 나뉜 숲은, 안으로 들어갈수록 인적이 드문 곳이었어요.

그 공간을 채우는 건 나무들이었습니다. 어찌나 울창한지, 햇빛을 가려 길이 어두울 정도였죠. 어둑하고 조용한 숲길을 걸으니 에너지가 차올랐습니다. 머리카락을 스치는 바람, 풀잎 향, 나무 사이로 반짝인 햇살까지. 숲은 말없이 저를 다독였죠.

롱블랙을 구독하면
분야를 넘나드는 1300개 이상의 콘텐츠를 읽을 수 있어요

롱블랙 구독자분들은
이렇게 말해요

전체 노트 보러가기
다른 콘텐츠를 보러갈까요?

위드 롱블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