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많은 콘텐츠가 궁금하신가요?
전체 노트

휴식에 관하여 : 쉴 때도 일 생각하시나요, 마음 주치의가 알려주는 휴식법

2025.05.28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이자 서울대 정신건강센터에서 학생과 교직원을 진료하는 전문의. 대학 정신건강과 직장 내 스트레스, 리더의 회복력을 연구하고 있으며, 의과대학 인성·리더십 교육과정 개발에도 참여하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 SERICEO에서 ‘리더의 정신건강’을 주제로 2년째 강의 중이며, 저서로는 『나는 왜 마음 놓고 쉬지 못할까』, 『듣는 마음, 말하는 기술』이 있다.

일상에서 발견한 감각적 사례를 콘텐츠로 전파하고 싶은 시니어 에디터. 감성을 자극하는 공간과 음식, 대화를 좋아한다. 말수는 적지만 롱블랙 스터디 모임에서 새로운 트렌드를 가장 많이 공유하는 멤버.


롱블랙 프렌즈 B 

“잘 쉬자”는 말이 숙제처럼 느껴질 때가 있습니다. 아무 일을 하지 않아도, 잠을 많이 자도 피로가 풀리지 않을 때가 있기 때문이죠. 가끔은 잘 쉬는 방법을 고민하다가 지치기도 합니다. 

그런 우리에게 “거창한 휴식의 기술을 찾지 말라”고 조언하는 의사가 있습니다. 김은영 서울대 정신의학과 교수. 10년간 사람들의 마음을 돌보며 ‘쉼’을 고민한 인물이에요. 

김 교수는 말합니다. “휴식을 성공과 실패의 개념으로 봐선 안 된다”고요. 그럼 그가 제안하는 관점은 뭘까요. 쉼을 한 번쯤 떠올리게 되는 수요일, 휴식에 대한 시선을 그와 함께 짚어보려 합니다. 



김은영 서울대 정신의학과 의사·교수

김은영 교수는 서울대 정신건강센터에서 진료하는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입니다. 2016년부터 지금까지 그와 대화를 나눈 학생과 교직원 수가 무려 1만 명이 넘죠. 

사람들이 털어놓는 사연을 들으며 김 교수는 생각했습니다. “사람들이 쉬는 법을 잊고 탈진해 가고 있다”고. 마음의 건강을 바라보던 그가 유독 ‘휴식’에 주목한 이유이기도 했죠. 


Chapter 1.
휴식 전문가도 쉼을 뒷전에 두고 살았다 

먼저 김은영 교수는 자신의 이야기부터 꺼냈습니다. “저도 휴식이 중요하다는 걸 뒤늦게 깨달았다”면서요. 그 역시 쉼을 뒷전으로 미루며 공부하고 일했던 사람이라고 고백했죠. 

어린 김 교수는 ‘불안을 성실함으로 극복하는 아이’였습니다. 1982년 전북 고창의 농촌에서 태어나 젖소 농장을 운영하는 부모님 곁에서 자랐어요. 하지만 형편이 넉넉하지는 않았죠. 김 교수는 자신의 미래가 걱정될 때마다, 공부로 받는 칭찬으로 불안을 잠재웠다고 합니다. 

롱블랙을 구독하면
분야를 넘나드는 1300개 이상의 콘텐츠를 읽을 수 있어요

롱블랙 구독자분들은
이렇게 말해요

다른 콘텐츠를 보러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