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우리는 남을 혼내는 것을 멈추지 못할까? : ‘상식’이라는 이름의 화풀이

2025.06.21

성장하고 싶은 직장인을 위한 지식 구독 서비스. 감각의 시대, 가장 앞선 감각적 비즈니스 케이스를 전달하는 것이 미션이다. 하루 한번의 노트를 발행하고, 24시간 동안만 공개함으로써 지식 소비의 습관을 형성하고자 한다. 묵직한 인사이트를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려 노력한다.

일상에서 발견한 감각적 사례를 콘텐츠로 전파하고 싶은 시니어 에디터. 감성을 자극하는 공간과 음식, 대화를 좋아한다. 말수는 적지만 롱블랙 스터디 모임에서 새로운 트렌드를 가장 많이 공유하는 멤버.


롱블랙 프렌즈 B 

최근 성과가 좋지 않은 후배를 혼낸 적이 있습니다. 후배는 고개를 숙이며 “죄송하다. 잘하겠다”는 말을 반복했어요. 쓴소리를 잠자코 듣는 그를 보니, 내심 ‘혼내길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런데 이런 제 생각을 반박하는 책이 있더군요. 제목은 『왜 우리는 남을 혼내는 것을 멈추지 못할까?』. 책에 담긴 주장을 요약하면 이렇습니다. 

“우리는 누군가를 가르치겠다는 명목으로 꾸짖지만, 사실 그렇지 않다. 사람들은 혼을 낼 때 만족감을 얻고, 또 그 행동에 의존하곤 한다. 더 이상 혼내기를 고집해선 안 된다.” 

‘혼내기에 의존하지 말자’는 주장엔 어떤 근거가 있는 걸까요. 책을 좀 더 살펴봤습니다. 


Chapter 1.
‘술 중독과 닮았다’는 혼내기 의존

책의 저자는 일본의 임상심리사, 무라나카 나오토村中直人입니다. 발달장애를 겪는 아이들의 성장을 연구했어요. 이 경험을 토대로 그는 2008년 아이들의 공부 자립을 돕는 사업 ‘아스하나 선생님’을 만들기도 했습니다. 지금은 일본의 아동·청소년 육성지원협회 대표이사를 맡고 있죠. 

아이들의 성장에 주목했던 저자, 왜 ‘혼내기’를 주목한 걸까요. 그는 뇌과학을 공부하다 한 연구 결과를 발견한 게 계기였다고 소개합니다. ‘누군가를 벌할 때 뇌의 보상 시스템이 활성화한다’는 내용*을 접하면서였죠.
*2014년 중국과학원 소속 연구원들이 발표한 ‘낯선 사람을 돕거나 처벌하는 것’이라는 제목의 연구. 

롱블랙을 구독하면
분야를 넘나드는 1300개 이상의 콘텐츠를 읽을 수 있어요

롱블랙 구독자분들은
이렇게 말해요

전체 노트 보러가기
다른 콘텐츠를 보러갈까요?

위드 롱블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