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많은 콘텐츠가 궁금하신가요?
전체 노트

결핍은 우리를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 우리가 벼락치기의 늪에 빠지는 이유


롱블랙 프렌즈 K 

여러분은 일을 여유 있게 하는 편이신가요? 저는 그렇지 않아요. 급한 불 하나를 끄면, 또 다른 불을 끄러 달려가곤 하죠. ‘나는 왜 이렇게 일을 쫓기듯 처리할까’라며 한탄하는 날도 많아요. 

그런 제 모습을 본 김지원 기자가 책 한 권을 건넸어요. 제목은 『결핍은 우리를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그 역시 이 책을 읽고 “내가 분주했던 이유에 결핍이 있다는 걸 알게 됐다”고 하더군요. 어떤 깨달음을 얻었는지 더 들어봤습니다. 



김지원 경향신문 기자  

“결핍은 단순한 부족함이 아니다.” 책의 저자인 행동경제학자 센딜 멀레이너선Sendhil Mullainathan과 인지심리학자 엘다 샤퍼Eldar Shafir의 주장입니다.
*센딜 멀레이너선은 시카고대 경영대학원 교수, 엘다 샤퍼는 프린스턴대 심리학과 교수로 일했다.  

이렇게 말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결핍이 누적된 이들의 삶을 보니, 관점은 물론 행동까지 바뀌더라는 겁니다. 그렇기에 결핍을 그대로 방치해선 안 된다는 주장을 펼쳤죠. 


Chapter 1.
벼락치기에는 대가가 따른다 

먼저 결핍이란 개념을 짚어 보겠습니다. 저자들은 이를 ‘본인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보다 적게 가지는 것’이라 정의해요. 여기에는 시간과 돈, 관계 등이 모두 포함되죠. 

롱블랙을 구독하면
분야를 넘나드는 1300개 이상의 콘텐츠를 읽을 수 있어요

롱블랙 구독자분들은
이렇게 말해요

다른 콘텐츠를 보러갈까요?

위드 롱블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