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아테 칼손 : “런웨이에서 넘어져라” 30세 패션계 이단아의 생각법

2025.08.14

성장하고 싶은 직장인을 위한 지식 구독 서비스. 감각의 시대, 가장 앞선 감각적 비즈니스 케이스를 전달하는 것이 미션이다. 하루 한번의 노트를 발행하고, 24시간 동안만 공개함으로써 지식 소비의 습관을 형성하고자 한다. 묵직한 인사이트를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려 노력한다.

운동과 캠핑을 좋아하고 '착한 소비'에 꽂혀있는 스타트업 콘텐츠 기획자. 더 나은 세상을 만들 기업과 사람을 알리는 것을 좋아하고, 스스로도 그런 사람이 되고 싶다. 주말에 친구들과 플로깅을 하는 걸 즐긴다. 롱블랙 스터디 모임의 에너자이저.


롱블랙 프렌즈 K 

모델들이 걸어 나오는 족족 넘어지는 패션쇼, 본 적 있으세요? 심지어 관객들은 달걀이나 캔 같은 쓰레기를 무대를 향해 던지기도 해요.

사고가 난 거냐고요? 아뇨, 모두 연출이래요! 이걸 의도한 인물은 스웨덴 출신의 베아테 칼손Beate Karlsson. 브랜드 아바바브Avavav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예요. 25세였던 2020년부터 아바바브의 패션을 지금까지 이끌고 있죠.

베아테의 독특한 제안은 제품에서도 나타나요. 대표적인 건 네 발가락 모양을 한 신발. “외계인 발 같다”는 조롱을 듣기도 했어요. 하지만 2024년 아디다스가 이 신발을 아바바브와 함께 만들었고, 일부 사이즈는 완판되기도 했죠.

사실 제품보다 더 궁금한 건 이걸 떠올린 서른 살 디렉터의 생각법이에요. 베아테는 “상품보다 생각을 떠올릴 수 있는 옷을 만들겠다”고 밝히거든요. 그는 어떻게 자신의 철학을 현실화했을까요?


Chapter 1.
‘아기의 시선’으로 런웨이를 구성한 디자이너

베아테 칼손은 1995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태어났어요. 세 자매 중 막내로요. 부모님과 언니들은 모두 영화·음악 업계에 진출한 창작자들*이었어요. 그 덕에 베아테는 미술과 음악으로 둘러싸인 어린 시절을 보냈죠.
*베아테의 언니 마틸다 칼손Mathilda Karlsson은 작곡가로, 아바바브 패션쇼 음악을 작·편곡 했다. 둘째 언니 아그네스 칼손Agnes Karlsson은 영화감독으로, 단편 영화 「베리 피커스Berry Pickers」를 연출했다. 

베아테는 점토 빚는 일에 관심이 많았어요. 10대 때 꼬물거리며 만들던 작품은 점점 ‘착용할 수 있는 액세서리’로 발전했죠. 반지나 귀걸이 같은 걸로요. 

이 경험이 베아테를 패션 디자인의 길로 이끌었어요. 열아홉 살을 앞두고 그는 결심합니다. 스톡홀름을 떠나 뉴욕에 가기로.

2014년, 베아테는 뉴욕의 파슨스 디자인 스쿨*에 들어가는 데 성공해요. 전공은 패션 디자인이었죠. 그는 ‘업계에서 이름을 날려보겠다’며 학교 밖에서도 경험을 쌓았어요. 베라 왕Vera Wang**에서 인턴으로 일을 배웠죠.
*도나 캐런Donna Karan, 마크 제이콥스Marc Jacobs 등의 디자이너를 배출한 뉴욕 맨해튼의 세계적인 패션스쿨.
**뉴욕 출신 1949년생 미국 디자이너. 1990년 동명의 웨딩 브랜드를 런칭해 웨딩드레스의 대명사로 자리 잡았다.

롱블랙을 구독하면
분야를 넘나드는 1300개 이상의 콘텐츠를 읽을 수 있어요

롱블랙 구독자분들은
이렇게 말해요

전체 노트 보러가기
다른 콘텐츠를 보러갈까요?

위드 롱블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