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에 관하여 : 불면증의 시대, 우리는 왜 잠을 자야 할까

2022.02.26

동아일보에서 일했다. 더밀크에서 객원기자로 일한다. 책 <40세에 은퇴하다>, <지속가능한 삶을 모색하는 사피엔스를 위한 가이드>를 썼다. 미국 북서부에서 살면서 라이프가드로 일하며 책을 읽고 글을 쓴다.

분석은 차갑게, 기획은 뜨겁게! 감각으로 승부하는 비즈니스 케이스를 찾아내고, 성공 비결을 분석하고, 내 일에 적용하는 걸 즐기는 사업기획자. 스터디 모임 롱블랙에서 깊이있는 인사이트를 제시하는 리더 역할을 맡고 있다.


롱블랙 프렌즈 L

나 어제 망했어. 잠을 너무 설쳤어. 새벽 1시에 나도 모르게 눈을 떴는데, 잠이 안 오는 거야. 억지로 자려고 누웠더니 더 정신이 맑아지는 거 있지. 결국 세 시간 잔 채로 출근했어. 그러다 회의 시간에 존 거 있지. 대표님도 있었는데!

우울해 하니까 김선우 작가가 위로하더라. 원래 사람은 자다가 한번 깨는 게 정상이라는 거야. 옛날 사람들은 다 그랬대, 진짜야? 그러고선 김 작가가 잠 얘기를 풀어놓기 시작하는데… 이 분, 잠에 진심이네. 책 두 권을 무려 요약해줬어. 들어봐.


김선우 작가

고등학교 때 담임 선생님은 엎드려 자는 학생이 있으면 깨우면서 “죽으면 계속 잘텐데 벌써부터 자냐. 그만 자라”고 말씀하시곤 했습니다. 3시간 자면 대학에 붙고 4시간 자면 떨어진다는 ‘3당4락’이라는 말이 유행하던 시절이었죠. 

우리 사회 전체가 잠을 대하는 마음가짐이 이렇습니다. 잠을 자지 않으면 인생 3분이 1이 늘어난다고 생각하는 거죠. 잠을 줄이면 공부를 더 할 수 있고 일도 더 할 수 있으며 심지어 더 놀 수도 있겠다는 생각 말이에요. 그래서 그런지 어느 정도 먹고 살만해진 것 같은데 한국인의 수면 시간은 여전히 세계 최악의 수준입니다. 한국이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국가 중 수면 시간이 가장 적다는 연구도 있고 세계에서 일본에 이어 수면 시간이 가장 짧다는 조사도 있습니다. 참고로 미국수면재단 NSF 이 권장하는 성인의 적정 수면 시간은 하루 7~9시간이에요.

롱블랙을 구독하면
분야를 넘나드는 1300개 이상의 콘텐츠를 읽을 수 있어요

롱블랙 구독자분들은
이렇게 말해요

전체 노트 보러가기
다른 콘텐츠를 보러갈까요?

위드 롱블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