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르메재단 :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곳을 찾아, 아무도 가지 않은 길을 걷다

2022.05.05

이베이코리아에서 홍보이사를 지냈다. 2016년부터 장애인이동권콘텐츠를 만드는 협동조합 '무의'를 운영한다. 서울지하철 교통약자 환승지도를 만들어 배포했다.

운동과 캠핑을 좋아하고 '착한 소비'에 꽂혀있는 스타트업 콘텐츠 기획자. 더 나은 세상을 만들 기업과 사람을 알리는 것을 좋아하고, 스스로도 그런 사람이 되고 싶다. 주말에 친구들과 플로깅을 하는 걸 즐긴다. 롱블랙 스터디 모임의 에너자이저.


롱블랙 프렌즈 K 

5월 5일 어린이날입니다. 따사로운 봄볕 아래 아이들을 보고 있으면, 절로 웃음이 나곤 해요.

여기, 햇살을 조금이라도 더 쬐기 위해 걷는 연습을 하는 어린이들이 있습니다. 태어날 때부터, 또는 사고를 당해 몸이 마비된 아이들이죠. 홍윤희 무의 이사장은 이 아이들의 마음을 잘 알고 있습니다. 그의 딸이 하반신이 마비된 채 태어났거든요. 2015년부터 지하철 교통약자 환승 지도를 만들며 장애인 이동권 증진에 애써온 이유예요.

홍 이사장이 어린이날을 맞아 롱블랙에 꼭 소개하고 싶은 곳이 있다고 해요. 장애 어린이·청소년의 재활을 돕는 푸르메재단입니다. 2005년 설립된 이 재단은 어린이재활병원과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센터, 보조기기 센터 등 15개 시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홍윤희 무의 이사장

고층 아파트들이 늘어선 서울 상암동 대로변엔 유리로 된 7층 건물이 있습니다. 푸르메재단 넥슨어린이재활병원. 입구에 들어서면 연두색 소파와 하늘색 벽이 아늑한 느낌을 줍니다. 곳곳엔 가지런히 유모차들이 줄을 서 있어요. 

집중 치료가 이뤄지는 2층 라운지는 안간힘을 내는 아이들로 가득했어요. 서너 살쯤 된 남자아이가 천장에 연결된 전신 슈트를 입고선 한발 한발 걷고 있어요. 재활 치료사의 부축을 받으면서요. 의사가 손으로 짚어주는 그림을 보며 큰 소리로 단어를 발음하는 아이도 있고요. 바닥 매트 위에선 5개월이나 됐을까 싶은 아기의 휜 다리를 치료사가 조금씩 눌러 펴주고 있었습니다.

롱블랙을 구독하면
분야를 넘나드는 1300개 이상의 콘텐츠를 읽을 수 있어요

롱블랙 구독자분들은
이렇게 말해요

다른 콘텐츠를 보러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