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니스 초코론리 : 펑키한 공정무역 초콜릿, 메시지와 경쟁력을 모두 잡은 전략

2022.06.01

성장하고 싶은 직장인을 위한 지식 구독 서비스. 감각의 시대, 가장 앞선 감각적 비즈니스 케이스를 전달하는 것이 미션이다. 하루 한번의 노트를 발행하고, 24시간 동안만 공개함으로써 지식 소비의 습관을 형성하고자 한다. 묵직한 인사이트를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려 노력한다.

운동과 캠핑을 좋아하고 '착한 소비'에 꽂혀있는 스타트업 콘텐츠 기획자. 더 나은 세상을 만들 기업과 사람을 알리는 것을 좋아하고, 스스로도 그런 사람이 되고 싶다. 주말에 친구들과 플로깅을 하는 걸 즐긴다. 롱블랙 스터디 모임의 에너자이저.


롱블랙 프렌즈 K 

얼마 전에 이마트에 갔다가 독특한 초콜릿을 발견했어요. 토니스 초코론리Tony’s Chocolonely!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쨍한 원색의 포장지가 <찰리와 초콜릿 공장>의 발랄함을 떠오르게 해요. 

찾아보니 네덜란드에서 2005년에 시작한 브랜드입니다. 2018년엔 시장점유율 19%로, 네덜란드에서 가장 큰 초콜릿 브랜드에 올랐어요. 2021년 매출은 1억유로(약 1345억원)를 넘어섰고요. 

단지 잘 팔리기만 하는 초콜릿은 아니에요. 노동 착취에서 100% 자유로운 초콜릿을 만들고 싶어 하는 브랜드입니다. 이른바 ‘공정무역 초콜릿’을 지향해요. 

오늘 노트는 선한 메시지를 힙hip하게 파는, 토니스 초코론리 이야기입니다.

Chapter 1.
저널리스트의 실행력, 공정무역 초콜릿 회사를 만들다

시작은 한 TV 고발 프로그램이었어요. 창업자 테운 반 드 쿠켄Teun van de Keuken은 네덜란드의 기자입니다. 테운은 TV 고발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크어링디스 반 바드Keuringsdienst van Waarde’로 유명해요. 2003년 그의 레이더에 초콜릿 산업이 들어왔죠.

테운이 찾아간 곳은 서아프리카의 카카오 농장. 전 세계 코코아의 60%가 이곳 가나와 코트디부아르 농장에서 생산됩니다. 테운은 농장의 실상을 보고 충격을 받았어요. 분노했죠. 어린아이들이 강제 노동을 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16살 소년 캄 사미 펠릭스Kam Sami Felix는 코트디부아르의 한 카카오 농장에서 4년을 일했습니다. 캄은 테운의 카메라를 보며 이렇게 말했어요.

롱블랙을 구독하면
분야를 넘나드는 1300개 이상의 콘텐츠를 읽을 수 있어요

롱블랙 구독자분들은
이렇게 말해요

전체 노트 보러가기
다른 콘텐츠를 보러갈까요?

위드 롱블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