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많은 콘텐츠가 궁금하신가요?
전체 노트

유동룡 : 이타미 준으로 불린 건축가, 그가 남긴 ‘시간의 의미’


롱블랙 프렌즈 K 

포도호텔, 방주교회, 수풍석水風石 박물관. 제주의 대표 건축물이죠. 여러분은 이걸 설계하고 만든 사람이 모두 같다는 걸 아셨나요? 

(故) 유동룡. ‘이타미 준Itami Jun, 伊丹潤’으로 불린 건축가입니다. 재일교포이지만 귀화하지 않고 한국인으로 살았어요. 두 나라를 오가며 온양미술관(현 구정아트센터), 학고재 화랑(현 인사동 갤러리 이즈), 도쿄 M빌딩 등의 작품을 남겼습니다.

2003년에는 아시아인 최초로 프랑스 국립 기메Guimet 박물관에서 개인전을 열었고, 이듬해 프랑스 예술문화훈장 슈발리에Chevalier를 수상했어요. 2006년에는 ‘김수근 문화상’, 2010년에는 ‘무라노 도고상’을 받았죠. 

지난해 12월, 유동룡미술관(이타미 준 뮤지엄)이 제주에 세워졌습니다. 그가 세상을 떠난 지 11년 만입니다. 이를 완성한 건 그의 첫째 딸, 유이화 ITM유이화건축사무소 대표입니다. 아버지를 기념하는 미술관을 유 대표는 왜 만들었을까요. 제주로 찾아가 그의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유이화 ITM유이화건축사무소 대표 

유동룡미술관은 아버지의 유언에서 출발했어요. 돌아가시기 전 “내가 죽거든 책상 서랍을 열어보거라” 하셨거든요. 농담처럼 말씀해 긴가민가 했어요. 장례 후 유품을 정리해 보니, 정말 유언장이 나왔습니다. 내용은 이랬어요.

“내 이름을 딴 문화재단, 기념관, 건축상을 만들어라. 이 모든 책임은 내 딸 유이화에게 있다.” 

롱블랙을 구독하면
분야를 넘나드는 1300개 이상의 콘텐츠를 읽을 수 있어요

롱블랙 구독자분들은
이렇게 말해요

다른 콘텐츠를 보러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