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있는 시간의 힘 : 무리 지어 다니며 성공한 사람은 없다

2023.06.24

언론사에서 뉴미디어 시대에 읽을 수 있는, 읽는 맛이 있는, 읽을 가치가 있는 콘텐츠를 고민하고 있다. 세상을 바꾸는 일에는 어느 정도의 유머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경향신문 정책사회부, 문화부 등을 거쳐 현재는 뉴콘텐츠팀에서 인문교양 뉴스레터 <인스피아>를 만들고 있다.

일상에서 발견한 감각적 사례를 콘텐츠로 전파하고 싶은 시니어 에디터. 감성을 자극하는 공간과 음식, 대화를 좋아한다. 말수는 적지만 롱블랙 스터디 모임에서 새로운 트렌드를 가장 많이 공유하는 멤버.


롱블랙 프렌즈 B 

요즘 혼자 있는 시간이 거의 없습니다. 회사에서는 팀원들과 함께하고, 주말에는 친구들을 만나기 바쁘죠. 누군가와 함께 있는 게 익숙해서일까요. 가끔 혼자 있는 주말이면 괜히 외로움이 밀려옵니다. 

김지원 기자에게 말했더니, 오히려 “혼자 있는 시간을 더 늘려 보라”는 조언이 돌아왔습니다. 혼자 있는 시간을 제대로 마주해야, 외로움에 흔들리지 않을 수 있다면서요. 김 기자가 책 한 권을 건넸어요. 『혼자 있는 시간의 힘』입니다.


김지원 경향신문 기자

여러분은 ‘고독’하면 어떤 느낌이 드시나요? 오늘날 ‘고독’이란 단어는 보통 외로움, 고립 등의 쓸쓸하고 부정적인 맥락에서 쓰이곤 해요. 마치 고독은 곧 슬픔이고, 결코 고독하면 안 된다는 듯이요. 많은 이들이 고독에서 벗어나고자 열심히 SNS를 하고, 일부러 약속을 만들곤 하죠.

하지만 『혼자 있는 시간의 힘』을 쓴 사이토 다카시齋藤 孝 일본 메이지대 교수는 ‘혼자 있는 시간’이야말로 가장 중요한 시간이라고 말해요. 나의 내면을 채우고, 무언가를 성취해낼 수 있는 시간이란 겁니다.

Chapter 1.
고독은 나쁜 걸까?

롱블랙을 구독하면
분야를 넘나드는 1300개 이상의 콘텐츠를 읽을 수 있어요

롱블랙 구독자분들은
이렇게 말해요

전체 노트 보러가기
다른 콘텐츠를 보러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