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고의 힘 : 다듬을수록 선명해지는 건 이야기만이 아니다

2023.07.15

언론사에서 뉴미디어 시대에 읽을 수 있는, 읽는 맛이 있는, 읽을 가치가 있는 콘텐츠를 고민하고 있다. 세상을 바꾸는 일에는 어느 정도의 유머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경향신문 정책사회부, 문화부 등을 거쳐 현재는 뉴콘텐츠팀에서 인문교양 뉴스레터 <인스피아>를 만들고 있다.

일상에서 발견한 감각적 사례를 콘텐츠로 전파하고 싶은 시니어 에디터. 감성을 자극하는 공간과 음식, 대화를 좋아한다. 말수는 적지만 롱블랙 스터디 모임에서 새로운 트렌드를 가장 많이 공유하는 멤버.



롱블랙 프렌즈 B 

‘백지는 고쳐 쓸 수 없다.’ 일단 시작하는 게 중요하다는 말이죠. 이번 주 베르나르 베르베르 인터뷰 노트에서, 베르베르가 한 이 말을 가슴에 품고 일했어요.

자, 그런데 일단 백지를 다 채운 다음엔 무얼 해야 할까요? 퇴고입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글쓰기는 퇴고에서, 비로소 시작합니다.

글 쓰는 사람에게 필요한 것은 글 쓰는 법이 아니라, 퇴고하는 법입니다. 소설가든 에디터든, 기획자든, 디자이너든 누구나 말이죠. 김지원 기자 역시 제 말에 동의한다며 이 책을 롱블랙 피플과 나누고 싶다고 했어요. 바로 『퇴고의 힘』.



김지원 경향신문 기자

글을 쓸 때 중요한 원칙은 ‘양보다 질’이라는 겁니다. 비단 소설이나 문학 작품, 기사 등에만 해당하는 건 아니에요. 회의나 보고서, 홍보 문구, 블로그 글 등도 마찬가지죠. 물론 롱블랙 글에서도요.

하지만 짧게만 쓴다고 호소력 있는 글이 되진 않아요. 만약 글이 중심 내용을 파악하기 어려울 정도로 숭덩숭덩 잘려있다면, 좋은 글이 아니에요. ‘그러면 대체 어떻게 쓰라는 거야!’ 싶으시죠?

롱블랙을 구독하면
분야를 넘나드는 1300개 이상의 콘텐츠를 읽을 수 있어요

롱블랙 구독자분들은
이렇게 말해요

다른 콘텐츠를 보러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