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쉐린 가이드 : 타이어 회사의 마케팅 콘텐츠, 브랜드가 되다

2024.03.05

변하지 않는 가치를 추구하지만, 늘 오늘을 읽고 느끼려 노력하는 사람. 시간의 가치와 본질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hospitality 기획자이다. 르 꼬르동블루 졸업 후, 뉴욕에서 요리하는 칼럼리스트로 활동하다 CJ E&M 마케터와 쉐이크쉑 마케팅 팀장, 신세계 그룹 컨텐츠 디렉터, 한화갤러리아의 브랜드 담당을 거쳐 아워홈 신사업TFT 상무로 일하고 있다.

운동과 캠핑을 좋아하고 '착한 소비'에 꽂혀있는 스타트업 콘텐츠 기획자. 더 나은 세상을 만들 기업과 사람을 알리는 것을 좋아하고, 스스로도 그런 사람이 되고 싶다. 주말에 친구들과 플로깅을 하는 걸 즐긴다. 롱블랙 스터디 모임의 에너자이저.


롱블랙 프렌즈 K 

며칠 전 ‘미쉐린 가이드 서울 & 부산 2024’가 발표됐죠? 한국 진출 8년 만에 서울이 아닌 도시를 다뤘어요. 덕분에 발표 전부터 미식가들의 주목을 끌었습니다.

미식계의 바이블로 통하는 미쉐린 가이드. 그런데 그 시작이 타이어 회사의 ‘마케팅 콘텐츠’였다는 거 아셨나요?

미쉐린은 원래 타이어 회사예요. 연간 약 2억 개의 타이어를 만듭니다. 기업가치는 무려 240억 달러(약 31조 8960억원). 2023년에만 2조 8000억원가량 벌어들인, 세계 2위의 타이어 회사죠. 미쉐린 가이드는 바로 이 타이어를, 더 많이 팔려고 만든 마케팅 콘텐츠였어요. 

대체 타이어 회사가 어떻게 미식, 그것도 파인다이닝의 세계에서 막강한 브랜드 가치를 가지게 된 걸까요? F&B 전문가 차승희 매니저와 함께 살펴봤어요.


차승희 신라호텔 F&B 플래닝 매니저

‘평가를 하면, 권위가 생기는구나.’ 미쉐린 가이드를 보며 제가 배운 것입니다. 타이어 회사가 미식 가이드를 만든다니. 처음엔 다들 시큰둥했을 거예요. 하지만 평가는 100년간 이어졌고 미쉐린은 미식 업계의 성서로 불리게 됐죠.

미쉐린 가이드의 가치는 그럼 얼마나 될까요? 공식적으로 그 경제적 가치가 매겨지진 않았어요. 다만 생전에 총 31개의 미쉐린 스타*를 받았던 프랑스의 전설적인 셰프 조엘 루뷰숑Joel Robuchon은 이렇게 말했었죠. “미쉐린 1스타를 받은 레스토랑은 고객이 20%, 2스타는 40%, 3스타는 100%까지 는다”고.
*2018년 조엘 루뷰숑이 사망 전까지 받은 스타를 더한 것이다.

롱블랙을 구독하면
분야를 넘나드는 1300개 이상의 콘텐츠를 읽을 수 있어요

롱블랙 구독자분들은
이렇게 말해요

전체 노트 보러가기
다른 콘텐츠를 보러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