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수 : “멋진 질문은 필요없다”, 누적 조회수 2300만 인터뷰의 기술

2024.05.07

명실상부 대한민국 최전선의 인터뷰어. 질문하고 경청하고 기록하며 기자의 업을 이어오고 있다. 특히 2015년부터 진행한 인터뷰 시리즈 ‘김지수의 인터스텔라’는 국내외 석학들의 지혜가 모이는 최적의 인문학 플랫폼으로 명성을 얻으며, 누적 조회수 2300만을 돌파했다. 떨림과 울림을 잇는 인터뷰를 천직이라 생각하며, 존재하는 모든 인간을 떨리는 마음으로 바라본다. 스스로 자부하는 가장 큰 탤런트는 정직과 의존성이다. 패션지 『보그』와 디지털 미디어 조선비즈의 문화전문기자로 오래 활동했다. 지은 책으로 『나태주의 행복수업』『이어령의 마지막 수업』『자존가들』 『자기 인생의 철학자들』 『위대한 대화』 등이 있다.

일상에서 발견한 감각적 사례를 콘텐츠로 전파하고 싶은 시니어 에디터. 감성을 자극하는 공간과 음식, 대화를 좋아한다. 말수는 적지만 롱블랙 스터디 모임에서 새로운 트렌드를 가장 많이 공유하는 멤버.


롱블랙 프렌즈 B 

‘자세히 보아야/예쁘다/오래 보아야/사랑스럽다/너도 그렇다.’

한국인이라면 모를 수 없는 시, 나태주 시인의 「풀꽃」입니다. 최근 서점에서 그의 이름을 발견했어요. 『나태주의 행복수업』. 자세히 보니 ‘인터뷰 에세이’입니다. 책의 주인공은 두 명. 시인 나태주, 그리고 조선비즈에서 「김지수의 인터스텔라」를 연재하는 인터뷰작가 김지수. 

기묘한 조합이었습니다. 꼭 시골쥐와 서울쥐 같았거든요. 『보그』와 조선비즈를 거친 도회적인 이미지의 김지수 작가, 풀꽃처럼 소박하고 섬세한 느낌의 나태주 작가. 

시인 ‘태주’가 사는 충청남도 공주에서 시작된 둘의 만남이 태주의 고향인 서천, 그리고 ‘지수’가 사는 서울로 이어지며, 두 사람이 어느새 서로의 마음을 알아주는 지음知音이 돼가는 이야기입니다. 

그런데 페이지를 넘길수록 김지수 작가의 이야기가 눈에 밟혔습니다. 제가 막연히 그려왔던 그의 이미지와 확연히 달랐거든요. 수없이 많은 「김지수의 인터스텔라」를 읽었지만, 정작 ‘김지수’의 인터스텔라는 한 번도 궁금해하지 않았더군요.
 


김지수 인터뷰작가/문화전문기자

‘최전선의 인터뷰어’. 김지수 작가의 별명입니다. 빌 게이츠, 말콤 글래드웰 같은 세계적인 유명 인사부터 다니엘 핑크, 고故 이어령 등 국내외 석학들이 「김지수의 인터스텔라」를 거쳐 갔어요. 2015년부터 조선비즈에서 시작한 이 인터뷰 시리즈는 누적 조회수 2300만을 기록하며 인기 콘텐츠로 자리 잡았습니다. 

롱블랙을 구독하면
분야를 넘나드는 1300개 이상의 콘텐츠를 읽을 수 있어요

롱블랙 구독자분들은
이렇게 말해요

전체 노트 보러가기
다른 콘텐츠를 보러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