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성원 : “음악은 다시 꿈꾸게 한다” 25년 차 첼리스트가 전하는 감상법

2024.09.13

첼리스트. 51년 동안 첼로를 연주했다. 연세대학교 관현악과 교수이자 ‘영국 왕립음악원’의 초빙교수. 세계적인 첼리스트 야노스 슈타커에게 사사했다. 2000년에 EMI 레코드에서 첫 음반을 발매하며 데뷔했다. 김민형 수학자와 음악에 대한 의견을 나눈 대담집 『내일 음악이 사라진다면』을 출간했다.

일상에서 발견한 감각적 사례를 콘텐츠로 전파하고 싶은 시니어 에디터. 감성을 자극하는 공간과 음식, 대화를 좋아한다. 말수는 적지만 롱블랙 스터디 모임에서 새로운 트렌드를 가장 많이 공유하는 멤버.


롱블랙 프렌즈 B 

“음악이 왜 좋아?” 이 질문을 들었을 때 전 말문이 막혔어요. 내가 언제 음악에 감동을 받는지, 한 번도 깊이 생각해 보지 않았거든요. 그저 본능적인 끌림이라고만 여겼죠.

그러다 제 통념을 뒤집는 한 권의 책을 만났습니다. 제목은 『내일 음악이 사라진다면』. 김민형 수학자와 양성원 첼리스트가 ‘음악’에 관해 이야기하는 책이에요.

서문에서 김민형 수학자는 이런 질문을 던져요. “왜 누구나 다 그렇게 음악을 좋아하는가?” 양성원 첼리스트는 대답합니다. “우리가 음악에 감동을 받는 특정한 순간이 있다”고.

양 첼리스트는 한평생 음악을 탐구한 사람입니다. 7살 때부터 51년 동안 첼로를 연주했어요. 파리국립음악원을 졸업한 뒤엔 세계적인 첼리스트 야노스 슈타커Janos Starker에게 첼로를 직접 배웠어요. 지금은 연세대학교 관현악과 교수이자, 세계적인 음악대학 ‘영국 왕립음악원’의 초빙교수이기도 하죠.

그런 그가 우리에게 음악의 즐거움을 찾아보자고 합니다. 양 첼리스트의 서촌 연습실을 찾았습니다. 그는 인터뷰하는 내내 첼로를 연주하듯 허공에 손을 움직였어요.


롱블랙을 구독하면
분야를 넘나드는 1300개 이상의 콘텐츠를 읽을 수 있어요

롱블랙 구독자분들은
이렇게 말해요

전체 노트 보러가기
다른 콘텐츠를 보러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