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많은 콘텐츠가 궁금하신가요?
전체 노트

K드라마 마켓 리포트 : “한국이 만들었지만 넷플릭스 것” 딜레마를 분석하다

2023.10.12

성장하고 싶은 직장인을 위한 지식 구독 서비스. 감각의 시대, 가장 앞선 감각적 비즈니스 케이스를 전달하는 것이 미션이다. 하루 한번의 노트를 발행하고, 24시간 동안만 공개함으로써 지식 소비의 습관을 형성하고자 한다. 묵직한 인사이트를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려 노력한다.

분석은 차갑게, 기획은 뜨겁게! 감각으로 승부하는 비즈니스 케이스를 찾아내고, 성공 비결을 분석하고, 내 일에 적용하는 걸 즐기는 사업기획자. 스터디 모임 롱블랙에서 깊이있는 인사이트를 제시하는 리더 역할을 맡고 있다.



롱블랙 프렌즈 L 

추석 연휴에 「무빙」 정주행했어. 와우, 너무 재밌더라. 요즘 넷플릭스·디즈니플러스를 한국 드라마가 접수한 거 알지? 넷플릭스 역대 인기 프로그램 100위에서 15편이 한국 드라마래. 자부심 차오르네.

이 정도 인기면, 우리나라 드라마 제작업계가 돈 좀 쓸어 담았겠는데? 궁금해져서 뉴스를 찾아봤어. 아니, 이게 뭐야? 주가가 왜 이래? 

「더 글로리」, 「마당이 있는 집」을 연속 히트시킨 스튜디오드래곤, 최근 10개월 주가가 45%나 하락했어. 심지어 「무빙」을 공동 제작한 NEW도 최근 한 달 주가가 25%나 빠졌어.

글로벌 드라마 시장을 쥐락펴락하는 우리 제작사들, 주가가 왜 이렇지? 궁금해져서 엔터 전문가 지인해 신한투자증권 연구위원을 찾아갔어. 지 위원은 잘라 말하더라. “수익 구조가 바뀌지 않으면 K드라마 제작사들은 남 좋은 일만 시키게 될 거”라고 말야.


Chapter 1.
글로벌 1위의 반전, 남는 게 없다

돈 버는 회사의 주가가 낮을 리가 없잖아. 장부부터 열어보자. 국내 최대 드라마 제작사 스튜디오드래곤. 2022년 매출액이 6979억원에 영업이익 652억원이야. 매출액은 전년도(4871억원) 대비 43.3%, 영업이익은 전년(525억원)보다 24.2% 뛰었어.

이 정도면 좋은 것 아니냐고? 글쎄? 2022년 스튜디오드래곤은 적잖은 히트작을 냈거든. 「스물다섯 스물하나」, 「작은 아씨들」 등을 흥행시킨 뒤 「더 글로리」로 그야말로 홈런을 쳤어.

특히 「더 글로리」는 넷플릭스 누적 시청 5억6000만 시간을 넘긴 메가 히트작이야. 넷플릭스 역대 콘텐츠를 통틀어 비영어권 5위에 오른 기록을 남겼지. 이 정도 세계적 히트를 쳤지만, 이 작품 하나로 스튜디오드래곤이 손에 쥔 이익은 100억원이 채 되지 않을 거란 게 업계 추정이야. 그럼 뭐야. 빛 좋은… 개살구?

롱블랙을 구독하면
분야를 넘나드는 1300개 이상의 콘텐츠를 읽을 수 있어요

롱블랙 구독자분들은
이렇게 말해요

다른 콘텐츠를 보러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