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지의 즐거움 : “배움은 무엇일까요” 정지우가 묻고 우치다 다쓰루가 답하다

2024.11.20

20대 중반부터 인문학적인 시선을 담아 세상과 삶을 글로 풀어냈다. 사랑과 행복처럼 삶의 주요한 가치를 고찰하며 얻은 깨달음도 글로 남겼다. 『청춘인문학』을 시작으로, 『사랑이 묻고 인문학이 답하다』까지 총 19권의 책(공저 포함)을 출간했다. 지금은 변호사로도 일하며 ‘쓰는 사람’의 삶을 이어가고 있다.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writerjiwoo 과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jungjiwoowriter/ 계정을 운영하고 있다.

일상에서 발견한 감각적 사례를 콘텐츠로 전파하고 싶은 시니어 에디터. 감성을 자극하는 공간과 음식, 대화를 좋아한다. 말수는 적지만 롱블랙 스터디 모임에서 새로운 트렌드를 가장 많이 공유하는 멤버.


롱블랙 프렌즈 B 

노트를 기획할 때마다 고민하는 게 있습니다. ‘롱블랙 피플에게 제대로 배움을 전하는가’. 3년 전 노트를 처음 쓸 때나 지금이나 고민은 같아요. 어떨 때는 “갈수록 더 어렵다”고 느끼죠. 

이를 고민하다가 한 일본인 철학자의 책을 접했습니다. 제목은 『무지의 즐거움』. “배운다는 건 ‘그릇’이 바뀌는 일”이라는 책 속 문장이 마음에 와닿았어요. 저자가 누군지, 더 궁금해졌죠. 

책의 저자는 우치다 다쓰루内田樹 고베여학원대학 명예교수입니다. 1950년생 철학자예요. 동시에 ‘개풍관’이라는 합기도장을 운영하는 무도가이기도 합니다.

우치다 교수는 평생 ‘배움의 흔적’을 기록으로 옮긴 사람입니다. 50년 넘는 세월 동안 공부한 내용을, 200권 넘는 책으로 남겼거든요. 대표 저서로는 『도서관에는 사람이 없는 편이 좋다』, 『어른 없는 사회』, 『완벽하지 않을 용기』 등이 있죠.

평생 배움을 일로 삼은 사람의 생각은 어떨까, 들어보고 싶었어요. 마침 기회가 생겼죠. 그와 필담*을 나눌 수 있게 됐거든요.
*당초 우치다 교수는 방한을 준비하다가, 건강상의 어려움으로 한국에 오지 못했다. 그에 따라 인터뷰는 서면으로 진행하게 됐다. 

그의 책을 앞서 읽은 정지우 작가가 인터뷰에 참여했어요. 정 작가가 던진 질문에 우치다 교수가 답한 내용을, 지금부터 담아보겠습니다.


정지우 문화평론가 겸 변호사 

우치다 교수는 ‘인문학을 일상에 가장 가깝게 들이는 사람’입니다. 공원에 부는 가을바람처럼, 우리 곁에 편안하게 생각을 머물게 하는 사상가죠. 그의 글만 봐도 이 분위기를 가늠할 수 있습니다.

롱블랙을 구독하면
분야를 넘나드는 1300개 이상의 콘텐츠를 읽을 수 있어요

롱블랙 구독자분들은
이렇게 말해요

전체 노트 보러가기
다른 콘텐츠를 보러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