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브랜드 리더들을 직접 만날 기회, IGDS 서울
롱블랙 특별가로 만나보세요
자세히 보기
세계 브랜드 리더들과의 만남, IGDS 서울

오월의종 : 매일의 일기 같은 투박한 빵, 단맛 없는 진심을 빚다


롱블랙 프렌즈 B 

그가 첫 마디를 떼자, 녹취를 위해 올려둔 핸드폰을 더 가까이 밀어야 했습니다. 허스키한 목소리가 낮고 느릿했어요. 배우 엄태구, 영화 「해리 포터」 속 스네이프 교수가 떠올랐습니다. 

그의 이름은 정웅. 달콤한 앙금과 생크림 베이커리가 주를 이뤘던 2007년. 한남동 일대에서 유일하게 딱딱하고 거친 무화과호밀빵과 크랜베리 바게트를 팔던 빵집, ‘오월의종’의 주인입니다. 열세 개*의 블루리본, 평일에도 길게 늘어선 줄이 그 명성을 입증하죠. 매일 약 1000개의 빵이 만들어지고, 거의 다 팔립니다. 오후 2시 전에 동나는 경우도 있죠.
*2012년부터 13년째 연속으로 국내 맛집 가이드인 블루리본을 받았다. 

지난해 오월의종은 자리를 옮겼어요. 그래도 주 무대는 여전히 한남동입니다. 한적한 주택가 한가운데 자리 잡은 검고 긴 직사각형 건물. 빵을 굽는 지하, 빵을 파는 1층을 지나면 2층에 있는 그의 사무실이 나와요. 독특하게도 한쪽에 천장까지 굴뚝이 연결된 거대한 오븐이 놓여있었죠. 장식용인 줄 알았는데, 실제 빵을 굽는 곳이라고 합니다. 

사무실에도 오븐을 둘 정도로 그의 빵 사랑이 대단하구나, 생각했어요. 하지만 인터뷰가 시작되고 그가 건넨 첫 마디에 잠시 멈칫했습니다. 그가 말했죠. “사실, 난 빵을 그렇게 좋아하지 않아요.”


정웅 오월의종 제빵사 

빵을 그렇게 좋아하지 않는다는 말, 맞습니다. 빵 그 자체를 좋아한다기보다 홀로 빵을 만드는 시간을 좋아하거든요. 남에게 간섭받기 싫어 빵을 만들기 시작했는데, 어느덧 20년 넘게 이 일을 하고 있네요. 

호텔에서 근무한 것도 아니고 유학파도 아닙니다. 대학 때는 무기재료공학을 공부했어요. 시멘트 회사에서도 열심히 일했고요. 31년간 남들이 하는 대로 살았습니다. 남들과 비슷해지는 날 보며 안심했죠. 그런데 어느 순간, 내가 보이지 않더군요. 나라는 사람이 사라진 거예요. 그 길로 퇴사하고 고등학생들 사이에서 제빵을 배우기 시작했습니다. 

그때부터 제 하루는 줄곧 새벽 4시에 시작됩니다. 가게 불을 켜고 오븐과 믹서기, 밀가루 포대와 발효종 그릇들을 깨우죠. 물 한잔 들이켜고 밀가루 포대를 열어젖히면, 그날의 빵 여정이 시작됩니다. 

광부가 하얀 석탄을 캐내듯 밀가루를 퍼 올립니다. 하얀 가루로 가득 찬 주방에서 길게 바게트 모양을 만들어요. 토실토실한 반죽 위에 쿠프(칼집)를 넣고 힘차게 오븐 안으로 밀어 넣은 다음, 스팀 버튼을 누릅니다. 노란 불빛 아래, 부풀어 오르는 빵을 지켜보는 순간은 늘 설렙니다. 오븐을 열면 안에 한가득 차 있던 수분감과 함께 구수한 빵 안개가 퍼져요. 문득 떠오른 생각을 소리 내 말해 봅니다. “아, 행복하다.”


Chapter 1.
시멘트 회사원, 퇴사 명분으로 빵을 택하다

어릴 적 제 관심사에 빵은 없었습니다. 술과 담배, 그림을 좋아했어요. ‘남자가 무슨 미술이냐’는 아버지 때문에, 미대 입시는 생각조차 못 했지만요. 대신 그림과 비슷한 데 꽂혔어요. 화학이었죠. 분자식과 원소 기호가 참 예뻐 보이더군요. 

연합고사에서 화학 만점을 받았습니다. 무기재료공학과에 붙었습니다. 총칼의 ‘무기weapon’가 아니라, ‘무기inorganic화학’의 무기라는 건 나중에 알았지만요. 

얼떨결에 들어왔지만, 그래도 화학 공부는 재미있었습니다. 연구원을 하고 싶어 대학원을 준비했는데, 가세가 기울며 무산됐어요. 마침 시멘트 회사에 들어간 친구가 그러더군요. “우리 회사에 연구원 자리가 있다”고. 냉큼 들어갔죠. 

다른 콘텐츠를 보러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