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리테일 리더들을 만날 기회, IGDS 서울
롱블랙 특별가로 만나보세요
자세히 보기
세계 리테일 리더들과의 만남, IGDS 서울

하리보 : 100년 역사의 젤리 왕국, 5년만에 한국 시장 1위 브랜드가 되다


롱블랙 프렌즈 L 

와우, 나 며칠 전에 편의점 갔다가 놀랐잖아. 15평 남짓한 편의점인데, 한 코너가 온통 젤리로만 가득 찼더라. 그것도 계산대 바로 앞, 가장 목 좋은 곳에 떡하니. 

이 편의점, 젤리에 올인한 건가? 궁금해서 찾아봤어. 그랬더니 국내 젤리 시장 성장세가 장난 아니더라고. 2015년 2739억원 규모에서 2021년 4102억원 규모로, 49.8%나 늘었어*. 이 정도면 젤리 붐이라고 할만하지?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Euromonitor 2021년 리포트 중에서 

재밌는 건 이 젤리 붐의 수혜를 독일의 100년 젤리 브랜드 하리보HARIBO가 가장 많이 받고 있단 거야. 하리보는 국내 츄잉 푸드chewing food* 시장을 17.2% 점유한 1위 젤리 브랜드야. 2위를 차지한 마이쮸(12.5%)를 크게 앞서고 있어. 그것도 정식 수입된 이듬해부터 줄곧 1등을 놓치지 않았어.
*껌·캐러멜·젤리 등 쫀득한 식감이 특징인 스낵류

젤리 시장에 대체 무슨 일이 있던 걸까? 또 하리보는 어떻게 단숨에 한국 젤리 시장 1위가 된 걸까? 궁금해서 한번 알아봤어.

Chapter 1.
한물간 껌 대신, 젤리 붐이 일다 

세계 젤리 시장이 모두 이렇게 난리인가? 그렇지 않아.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지난 7년간 글로벌 젤리 시장은 2% 정도 성장했을 뿐이야. 우리만 같은 기간에 50% 정도 성장한 거지.

아니, 우리가 이토록 젤리에 진심인 민족이었나? 아냐. 한국인의 대표 츄잉 푸드는 원래 껌이었잖아. 1956년 나온 ‘해태 풍선껌’, 1970년에 나온 롯데껌이 엄청 인기를 끌었지.

롱블랙을 구독하면
분야를 넘나드는 1300개 이상의 콘텐츠를 읽을 수 있어요

롱블랙 구독자분들은
이렇게 말해요

다른 콘텐츠를 보러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