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루히 : 손님과의 케미스트리로, ‘스강신청’ 오마카세 집이 되다

2023.11.10

사람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일의 첫 단계는 그들이 가진 문제가 무엇인지 아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좋은 제품에 대한 기준과 가치는 대화와 피드백으로부터 시작하고 완성된다고 믿습니다. 이 모든 과정이 바로 고객과의 관계 맺음을 위한 “-다움”을 만든다고 생각하죠. 콘텐츠 회사를 창업해, 월간 패션지 발행을 지나, 브랜드 에그리게이터에 기반한 커머스를 하고 있습니다.

운동과 캠핑을 좋아하고 '착한 소비'에 꽂혀있는 스타트업 콘텐츠 기획자. 더 나은 세상을 만들 기업과 사람을 알리는 것을 좋아하고, 스스로도 그런 사람이 되고 싶다. 주말에 친구들과 플로깅을 하는 걸 즐긴다. 롱블랙 스터디 모임의 에너자이저.


롱블랙 프렌즈 K 

얼마 전에 C와 스시 오마카세에 다녀왔어요. 사실 저는 오마카세를 그리 즐기지 않아요. 비싸고 너무 격을 차리는 느낌이라서요. 그래서 거절했는데, C가 “1년 만에 9만명을 뚫고 예약 성공한 곳이니 안 가면 바보”라는 거 있죠.

C의 손에 끌려 들어간 아루히ある日. 제 걱정과 달리 유쾌한 분위기였습니다. 가격도 디너 오마카세 3만8000원. 10만원이 당연히 넘어갈 줄 알았는데 저렴했어요. 충격적인 건 가격뿐 아니었습니다. 셰프님이 ‘떴다 떴다 비행기’ 노래에 맞춰 우니 마끼를 건네주시고, 옆에서 한 손님은 춤을 추고, 퇴장할 땐 에버랜드 테마송이 나왔어요.




김락근 인스턴트펑크 대표 

‘스강신청’이란 말을 아시나요? ‘스시’에 ‘수강신청’을 붙여 만든 합성어입니다. 대학교의 수강신청만큼 예약이 힘든 스시집이란 뜻이에요. ‘스강신청’의 시초가 바로 여의도 아루히입니다.

내궁, 바비정, 40만 미식 유튜브 ‘비밀이야’… 내로라하는 F&B 전문가들이 찾아와요. 여의도 직장인이나 주민들은 아루히에게 “여의도의 축복”이라는 별명을 붙여줬죠.

오염수 방류, 급증한 일본 여행 등의 이유로 많은 오마카세가 위기에 처했습니다. 그러나 아루히 예약 경쟁률은 여전히 9만명 대 1. 비결은 가격과 맛 이전에 ‘엔터테인먼트’였습니다. 스시 집에서 무슨 말이냐고요? 아루히의 이용, 이미연 대표를 직접 만나봤습니다.

롱블랙을 구독하면
분야를 넘나드는 1300개 이상의 콘텐츠를 읽을 수 있어요

롱블랙 구독자분들은
이렇게 말해요

전체 노트 보러가기
다른 콘텐츠를 보러갈까요?

위드 롱블랙